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지분 70.5% 확보
월 1900만 이용자·AI기술 접목 시너지 창출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인 '왈라팝(wallapop)'을 인수하며 유럽 시장 본격 진출에 나선다. 네이버는 약 6045억 원(3억7700만 유로)을 투입해 스페인 왈라팝 지분 약 70.5%를 추가 확보하고 경영권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기존 투자분 2550억원을 포함하면 총 투자 규모는 8600억원에 달한다. 왈라팝은 월간 이용자 수(MAU)가 1900만 명이 넘는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C2C 플랫폼으로, 유럽의 친환경·순환경제 트렌드 확산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다.
왈라팝은 일상 생활용품부터 전자기기, 자전거, 자동차 등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중고품 개인 거래 플랫폼으로 운영된다. 유럽에서는 친환경과 순환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C2C 서비스나 관련 플랫폼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다. 왈라팝은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로 꾸준히 성장해 스페인 대표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현재 스페인을 넘어 이탈리아와 포르투갈 등 남유럽 시장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고 있다.
네이버는 일찍부터 왈라팝 성장 가능성에 주목했다. 지난 2021년과 2023년 두 번에 걸쳐 약 2550억 원을 투자했고 이를 통해 지분 약 29.5%를 확보한 바 있다. 이번에 보다 본격적인 협업과 시너지 창출을 위해 네이버가 왈라팝 경영권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파트너십 강화를 합의한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 2016년부터 프랑스 전 디지털경제부 장관인 플뢰르 펠르랭 대표가 설립한 투자사 코렐리아캐피탈에 펀드 출연 등을 통해 간접투자 방식으로 유럽 사업을 전개해왔다.
이번 왈라팝 인수를 계기로 네이버는 유럽 시장에 검색, 광고, 결제, 인공지능(AI) 등 네이버 기술과 관련 사업 노하우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 측은 "C2C는 일상과 밀접한 다채로운 상품군과 다양한 경험들이 공유되는 롱테일 커머스 생태계로 데이터 다양성이 경쟁력이 되는 AI 생태계에서도 중요도가 높다"며 "C2C 영역에서 데이터와 사용자를 AI 기술과 접목해 새로운 사용 경험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지난 10여년 동안 유럽 시장에 투자를 진행하면서 본격적인 파트너십을 가져갈 대상을 지속 물색해왔다"며 "왈라팝은 글로벌 빅테크가 전 세계 시장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스페인의 C2C 시장 대표로 자리매김한 해당 분야 강자"라고 평가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네이버는 포시마크, 크림, 소다 등 북미와 한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C2C 사업을 유럽까지 확대하게 됐다.
참고 링크: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앤트로픽, AI 안전성과 코딩 AI 시장 선도 기업가치 236조원 돌파 (0) | 2025.08.05 |
---|---|
정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국가대표 5팀' 최종 선정…2년간 2,000억 원 투입 경쟁 (1) | 2025.08.05 |
오픈AI 챗GPT, 주간 활성 이용자 7억 명 돌파…연매출 200억 달러 전망 (2) | 2025.08.05 |
AI Index 2025 보고서 발표…AI 도입 급증과 신뢰·규제 지연 현상 부각 (5) | 2025.08.04 |
AI·로봇 기반 ADC 항암제 제조 혁신…374억 지원 추진 (3)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