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 출신 창업·기업가치 236조원·코딩 AI 분야 42% 독주·'해석 가능한 AI' 기술 선도
앤트로픽(Anthropic)이 'AI 안전'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OpenAI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2021년 1월 OpenAI 출신 핵심 인물들이 설립한 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기반 기업은, CEO 다리오 아모데이와 CTO 다니엘라 아모데이를 중심으로 한 창업팀이 "AI 안전에 대한 철학적 갈등"으로 OpenAI를 떠나 설립했다. 회사의 법적 형태인 PBC(Public Benefit Corporation)는 사회적 책임을 사업적 우선순위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시장 점유율 및 성과 지표
구분 | 앤트로픽 (클로드) | OpenAI (GPT) | 기타 |
기업용 LLM 시장 점유율 | 32% (1위) | 25% | 43% |
코딩 AI 시장 점유율 | 42% (1위) | - | 58% |
기업가치 (2025년 7월) | 1700억 달러 (236조원) | - | - |
설립연도 | 2021년 | 2015년 | - |
앤트로픽의 플래그십 제품인 대형 언어모델 기반 챗봇 클로드(Claude) 시리즈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2025년 8월 기준, 앤트로픽은 기업용 LLM 시장에서 점유율 32%로 1위에 올라섰다. 이는 2023년 말 50%를 차지했던 OpenAI가 현재 25%로 떨어진 것과 대비된다. 특히 클로드는 코딩 생성 분야에서 42% 점유율로 GitHub Copilot을 제치고 독주하고 있으며, 2025년 5월 공개된 Claude Opus 4와 Claude Code는 코드 생성 및 업무 자동화에 최적화된 기능을 선보이며 '코딩 AI'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주도하고 있다.
주요 투자 현황
투자자 | 투자 형태 | 투자 규모 | 지분율 |
구글 | 컴퓨팅 제공 | 3억 달러 상당 | 10% |
아마존 | 직접 투자 | 최대 40억 달러 | - |
아이코닉캐피탈 | 신규 투자 협상 중 | 최대 50억 달러 | - |
GIC | 신규 투자 협상 중 | (포함) | - |
카타르 국부펀드 | 신규 투자 협상 중 | (포함) | - |
앤트로픽은 GPT류 모델의 블랙박스 문제에 주목해 '해석 가능한 AI'를 위한 마인드 맵핑 기술을 개발했다. 2024년 5월 공개된 이 기술은 언어모델의 은닉층에서 수백만 개의 특성을 추출해 개념 지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모델 내부 작동 원리의 투명성 확보와 할루시네이션 억제, 편향 및 오용 방지 등 AI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시도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접근은 기술의 상업화보다 신뢰성과 투명성을 우선시하는 앤트로픽의 철학을 잘 보여준다.
투자 유치 면에서도 앤트로픽의 성장세는 눈부시다. 2021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대형 투자를 성공시켜 왔으며, 2025년 7월 기준 기업가치는 1700억 달러(236조 원)로 평가받고 있다. 구글이 지분 10% 확보를 위해 3억 달러 상당의 컴퓨팅을 제공했고, 아마존은 최대 40억 달러 투자를 약속한 바 있다. 현재 아이코닉캐피탈, GIC, 카타르 국부펀드 등과 최대 50억 달러 신규 투자를 협상 중이다.
AI 시장 트렌드 변화
구분 | 2023년 | 2025년 | 변화율 |
스타트업 프로덕션 추론 투자 비중 | - | 74% | - |
대기업 프로덕션 추론 투자 비중 | - | 49% | - |
모델 API 사용 비용 | 35억 달러 | 84억 달러 | +140% |
앤트로픽의 시장 우위는 단순히 모델 성능 때문만이 아니다. AI 활용의 중심이 '모델 훈련'에서 '실행 추론'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클로드를 "업그레이드 속도가 빠르고, 신뢰도 높은 실행형 AI"로 자리매김시켰다. 2025년 현재 스타트업의 74%, 대기업의 49%가 프로덕션 추론에 대부분의 컴퓨팅 자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모델 API 사용 비용도 35억→84억 달러로 폭증하고 있어 앤트로픽의 전략이 시장 트렌드와 정확히 부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 링크: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 경영권 인수 (0) | 2025.08.05 |
---|---|
정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국가대표 5팀' 최종 선정…2년간 2,000억 원 투입 경쟁 (1) | 2025.08.05 |
오픈AI 챗GPT, 주간 활성 이용자 7억 명 돌파…연매출 200억 달러 전망 (2) | 2025.08.05 |
AI Index 2025 보고서 발표…AI 도입 급증과 신뢰·규제 지연 현상 부각 (5) | 2025.08.04 |
AI·로봇 기반 ADC 항암제 제조 혁신…374억 지원 추진 (3)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