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10 TSMC 기술 유출 사건, 일본으로 이어지는 경로 발견…칩 전쟁 새로운 국면 대만 검찰, TSMC 전·현직 직원 3명 체포…도쿄일렉트론 압수수색, 일본 Rapidus로 기술 유출 추정 TSMC의 첨단 반도체 기술 유출 사건에서 예상과 달리 중국이 아닌 일본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발견됐다.Korea JoongAng Daily에 따르면, 대만 검찰이 TSMC 전·현직 직원 3명을 체포했으며, 도쿄일렉트론 힌슈 사무소를 압수수색했다. 유출된 기술이 일본 정부가 2022년 설립한 칩 파운드리 Rapidus로 전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TSMC는 일상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의심스러운 활동을 감지하고 이를 당국에 신고했다. 대만 고등검찰청 지적재산범죄과가 이 사건을 조사하고 있으며, 대만의 국가보안법 위반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대만 언론에 따르면, TSMC는 지난달 일상적인 모니터링 중 의심스.. 2025. 8. 12. Nvidia·AMD, 중국 AI 칩 수출 수익 15%를 미국 정부에 분배 젠슨 황-트럼프 백악관 회담서 이례적 협정 체결…미국 AI 기술 주도권 강화와 중국 견제 정책 일환 Nvidia와 AMD가 중국에 AI 칩을 수출할 때 발생하는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분배하기로 합의한 이례적인 국제 기술 무역 협정이 체결됐다. 젠슨 황 Nvidia CEO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만나 이 협정을 공식화했다. 이번 협정은 국제 기술 무역에서 전례 없는 사례로, 민간 기업이 정부와 수출 수익을 공유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Financial Times, Bloomberg, New York Times 등 주요 언론들이 이 협정의 파장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번 협정은 미국의 AI 기술 주도권 강화와 중국 견제 정책의 일환으로, 향후 다른 기술 기업들도 .. 2025. 8. 11. SK하이닉스, AI 메모리 시장 2030년까지 연 30% 성장 전망…HBM 수요 폭증 클라우드 기업 대규모 AI 투자로 맞춤형 시장 수십억 달러 규모로 확대…글로벌 반도체 경쟁 구도 변화 예고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전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HBM은 칩을 수직으로 쌓아 공간 절약과 전력 효율을 높인 DRAM으로, 복잡한 AI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인 핵심 부품이다. 특히 GPT-4, Claude, Gemini 등 초거대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해 HBM의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다.클라우드 기업들의 AI 인프라 투자가 HBM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Gartner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클라우드 AI 인프라 투자는 전년 대비 45% 증가한 1,200억 .. 2025. 8. 11. 엔비디아 H20 수출 재개로 中 빅테크 주문 급증, SK하이닉스·삼성 수혜 美 AI칩 규제 해제로 中수출 재개중국 빅테크 기업들 예상 웃도는 주문·2분기 수익 반전 전망 미국의 수출 규제로 막혔던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인공지능(AI) 칩 'H20' 수출이 재개되자 중국 빅테크 기업들의 주문이 급증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올해 4월 전면 금지했던 H20 수출을 3개월 만인 이달 중순 해제하면서, 엔비디아가 대(對)중국 수익 회복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30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에 H20 칩 30만 개를 신규 주문했다. 당초 엔비디아는 보유 재고(약 60만∼70만 개)로 중국 수요를 감당할 계획이었으나 예상을 웃도는 주문이 몰리자 추가 생산을 결정했다. 엔비디아가 지난해 H20을 100만 개 판매한 점을 고려하면 이번 신규.. 2025. 7. 31. 트럼프 대통령, AI정책 발표 중 'Nvidia 분할' 언급…글로벌 반도체 시장 파장 미국 AI 인프라 강화·동맹국 협력 강조…업계·전문가 '실현 가능성 낮다' 평가 2025년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AI 액션플랜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Nvidia를 분할하자"는 발언을 해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을 직접 언급하며, 미국 내 AI 인프라 강화와 동맹국 중심의 AI 기술 확산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 내 AI·반도체 산업 정책, 글로벌 공급망, 동맹국과의 협력 강화 의지를 반영한다. 그러나 업계와 전문가들은 실제 Nvidia 분할이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며, 오히려 글로벌 반도체 경쟁 구도와 AI 생태계에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업계에서는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은 AI 혁신의 원동력"이라는 평가와 함께,.. 2025. 7. 25. SK하이닉스, 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영업이익 9조 돌파 AI 반도체 수요 확대로 매출 22조, 영업이익 9조2129억원 기록 SK하이닉스가 2분기(4~6월)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확대에 힘입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24일 발표된 실적에 따르면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5%, 68% 증가했다. 이번 실적은 이전 분기 최대 기록인 지난해 4분기(10~12월) 매출 19조7670억원, 영업이익 8조828억원을 크게 상회한 것이다. 증권사 전망치(컨센서스) 매출 20조7186억원, 영업이익 9조648억원도 웃돌았다. 실적 성장의 핵심은 엔비디아 등 빅테크에 판매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최신 제품인 5세대(HBM3E) 12단 제품이었다.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쌓아 데이터 처리.. 2025. 7. 2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