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억엔 투자로 '에이닷' 기술 첫 해외 적용...한일 일정관리 시장 공략 본격화
SK텔레콤이 일본의 글로벌 일정 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와 22억엔(한화 205억원) 규모의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 이는 SKT의 AI 서비스 '에이닷' 기술이 해외 서비스에 처음 적용되는 사례로, 한국의 AI 에이전트 기술이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5일 일본 도쿄에서 타임트리와 양사 협력을 위한 투자 계약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8일 발표했다. 타임트리는 2014년 일본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전 세계 약 6천700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동명의 일정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SK텔레콤은 자사의 AI 서비스 '에이닷'을 통해 축적한 AI 에이전트 기술력과 상용화 경험을 타임트리에 적용한다. 특히 지난 8월 에이닷에 선보인 '에이전틱 워크플로우' 기술이 핵심이다. 이 기술은 AI 에이전트가 단순히 사용자의 요청을 실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목표를 설정한 뒤 필요한 작업을 순차적으로 계획·수행하는 방식이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타임트리와의 협력은 SKT가 AI 에이전트 기술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중요한 기회"라며 "한국과 일본 양국의 AI 에이전트 생태계 확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해당 기술을 타임트리 서비스에 접목해 기존의 서비스를 고객이 입력한 정보 기반으로 일정을 관리하는 수동적 역할에서 고객의 일정·사용 패턴·선호도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활동이나 이벤트를 추천하는 능동적 AI 서비스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타임트리는 현재 전 세계 6천700만명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글로벌 일정 공유 플랫폼으로, 기업과 개인의 일정 관리뿐만 아니라 이벤트 기획, 팀 협업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SKT의 AI 에이전트 기술이 접목되면 사용자들이 더욱 지능적이고 개인화된 일정 관리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박차진 타임트리 대표이사는 "SKT와의 제휴는 일본 중심으로 성장해온 타임트리가 한국 시장 진출과 글로벌 확장을 본격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조: skt 보도자료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대전환 시대, 중소기업의 새로운 성장방정식 '3S-Up' 전략 (0) | 2025.09.08 |
---|---|
구글, 검색시장 반독점 소송 1심 판결 승리...크롬 매각 요구 기각 (0) | 2025.09.08 |
스위스, 15조 토큰 훈련된 오픈소스 AI 모델 'Apertus' 출시 (0) | 2025.09.07 |
OpenAI-Broadcom, 2026년 맞춤형 AI칩 출시로 NVIDIA 의존도 탈피 (1) | 2025.09.05 |
구글, 초경량 AI 모델 ‘나노바나나’ 공개 (1) | 202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