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AI·로봇 기반 ADC 항암제 제조 혁신…374억 지원 추진

by 카메라의눈 2025. 8. 3.
반응형

 

AI·로봇 활용 암세포 정밀 타격 기술 개발
ADC 항체-약물 접합체
바이오 제조 생산성 30~60% 향상

 

인공지능(AI)·로봇을 활용해 암세포만 정밀 타격하는 의료 기술을 개발하는 등 혁신 연구개발(R&D) 사업에 정부가 올해 374억원의 국비를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AI 기반 표적 맞춤형 의약품 제조 자율랩 기술 개발 사업'의 신규 과제 8개를 오는 25일까지 공고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AI·로봇 기반 의약품 자동화 설계·제조 시스템을 도입해 바이오 제조 생산성을 향상하고 국내에 차세대 의약품 개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구체적으로 차세대 의약품으로 주목받는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설계·제조 경로 예측을 위한 AI 모델 개발, 관련 제조 자동화 모듈 개발, 통합 자동화 시스템(워크스테이션) 구축 등 8개 세부 과제를 시행한다.

 

 

ADC는 항체(Antibody), 약물(Drug), 링커(Linker) 등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차세대 항암제로, 기존 화학요법이 정상 세포까지 훼손하는 것과 달리 암세포 표면의 특정 항원과 선택적으로 결합한 후 약물을 세포 내부로 전달해 종양을 사멸시킨다. 이 사업은 올해 2차 추경 사업으로 선정돼 산업부가 374억원의 예산을 확보, 하반기부터 지원에 착수한다.

 

앞서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2022년 보고서에서 AI·로봇 등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보다 바이오 제조 생산성 약 30∼60%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산업부는 "바이오산업에서 AI 적용 모범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앞으로도 국내 바이오 기업의 차세대 의약품 제조 혁신 분야를 중점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업계 전문가들은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개발은 정밀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고 평가한다. 특히 ADC와 같은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서 AI 기술의 활용은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AI 기술의 의료 적용에서 안전성과 효능 검증이 핵심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