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이미지 프롬프트로 가상 3D 장면 생성…게임 엔진 등 활용 기대
개발자 접근성 높이고 3D 콘텐츠 제작 생태계 확장 기여 전망
중국의 거대 기술 기업 텐센트가 3D 가상 장면 생성을 위한 오픈소스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인 '혼원 월드 모델 1.0(Hunyuan World Model 1.0)'을 공식 출시하며 3D 콘텐츠 제작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 모델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 프롬프트를 통해 3D 가상 환경을 생성할 수 있어, 개발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3D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텐센트가 공개한 혼원 월드 모델 1.0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표준 그래픽 파이프라인과의 높은 호환성이다. 이를 통해 게임 엔진, 가상현실(VR) 플랫폼, 시뮬레이션 도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어 개발자들은 독점적인 제약 없이 3D 콘텐츠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모델은 생성된 장면 내에서 개별 객체를 분리하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하늘을 분리하여 동적인 조명 효과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들은 사용자가 생성된 3D 환경을 더욱 세밀하게 제어하고 맞춤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만, 현재 혼원 월드 모델 1.0은 완전한 자유 이동이 가능한 3D 세계를 제공하기보다는 인터랙티브한 360도 파노라마 생성을 지원한다. 보다 진보된 카메라 움직임을 위해서는 '보이저(Voyager)' 애드온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혼원 월드 모델 1.0의 오픈소스 공개는 텐센트의 AI 기술 오픈소스화를 위한 광범위한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3D 콘텐츠 제작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AI 기술의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모델의 공개는 AI 기술이 단순히 텍스트나 2D 이미지 생성에 그치지 않고, 복잡한 3D 환경 구현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텐센트의 이번 행보는 AI 기반 3D 콘텐츠 제작 도구의 접근성을 높여, 더 많은 창작자와 개발자들이 혁신적인 가상 세계를 구축하는 데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3d-models.hunyuan.tencent.com/world/
腾讯混元3D
3d-models.hunyuan.tencent.com
관련 정보는 [더 디코더(The Decoder) 웹사이트]를 참조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테슬라와 165억 달러 역대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 (1) | 2025.07.29 |
---|---|
앤트로픽, 클로드 구독자 주간 사용량 제한 도입… 8월부터 적용 (1) | 2025.07.29 |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국가 독자 AI, 2라운드는 실증 전쟁 (4) | 2025.07.28 |
메타, 초지능형 AI 개발 위해 중국계 인재 대거 영입 (3) | 2025.07.28 |
중국 상하이 WAIC 2025, 휴머노이드 로봇 60여 종 대거 전시 (5)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