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센터9 오픈AI 코리아 공식 출범...한국을 AI 허브로 만들겠다 챗GPT 주간 사용자 4배 증가, 유료 구독자 3배 성장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 달성삼성·SK·카카오 등 주요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데이터센터 설립 검토서울대 MOU 체결,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으로 AI 인재 육성 가속화 오픈AI가 9월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시아 세 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이번 한국 진출로 오픈AI는 아시아에서 일본, 싱가포르에 이어 세 번째 지사를 운영하게 됐으며, 전 세계 기준으로는 열두 번째 지사다.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와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오픈AI가 한국의 AI 대전환을 위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2025. 9. 10. LG CNS, 자카르타에 AI 데이터센터 구축... 동남아시아 AI 생태계 진출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 AI 데이터센터·2026년 완공 예정·LG 그룹 AI 생태계 확장LG CNS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6일 발표했다. 이는 LG 그룹의 해외 AI 생태계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LG CNS는 자카르타 남부 지역에 위치한 4만6천281㎡(약 14만 평) 규모의 부지에 2026년 완공을 목표로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LG CNS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인도네시아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데이터센터는 초기 11개 동으로 구성되며, 총 30만kW의 전력 공급 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AI 연산에.. 2025. 8. 6. '그린 IT' 시대 본격화…에너지 효율화, IT 기업의 생존 과제로 부상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 급증…에너지 효율적인 반도체·냉각 기술 개발 시급히타치, '지속 가능성 SLA 보장' 프로그램 도입…IT 인프라의 탄소 발자국 관리 중요성 커져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급격한 확산으로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그린 IT(Green IT)'가 2025년 IT 업계의 핵심 화두로 떠올랐다. 폭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기업의 환경적 책임을 넘어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가 되었다. 특히 AI 모델 학습과 운영에 막대한 전력이 소모되면서, 엔비디아, 인텔 등 반도체 기업들은 전력 효율을 극대화한 차세대 AI 가속기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열을 식히기 위한 액체 냉.. 2025. 8. 6.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39% 고성장으로 시총 4조 달러 예고... AI 주도기업 입증 애저 클라우드 매출 750억 달러 기록코파일럿 사용자 1억 명 돌파·분기 자본지출 300억 달러 역대 최대 마이크로소프트(MS)가 2분기 클라우드 성장 등 호실적을 앞세워 기업 가치 4조 달러선 돌파를 예고했다. MS는 지난 2분기(회계연도 4분기) 764억4천만 달러의 매출과 3.65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으며, 매출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 증가했다. 특히 애저 클라우드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 매출은 약 26% 늘어난 298억8천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다. MS는 이번에 처음 애저 사업의 매출 규모를 공개했으며, 2025 회계연도(2024년 7월∼2025년 6월) 애저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750억 달러로.. 2025. 7. 31. SK하이닉스, HBM 메모리 수요 입증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전망 AI 서버·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으로 HBM 시장 호조·메모리 업계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SK하이닉스의 실적을 통해 HBM(High Bandwidth Memory) 메모리 수요가 입증되며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I 서버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한 메모리 시장의 호조를 예상케 하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HBM 기술을 통해 메모리 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HBM은 기존 DRAM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고성능 메모리로, AI 연산에 필수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SK하이닉스는 HBM3와 HBM3E 등 최신 HBM 제품을 통해 글로벌 AI 칩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엔비디아, AMD, 인텔 등 주요 AI.. 2025. 7. 29. 엔비디아, 세계 최초 4조 달러 기업 등극…AI 하드웨어 시장 지배력 확립 애플·마이크로소프트 추월, 데이터센터 GPU 90% 점유율로 AI 생태계 주도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최초의 4조 달러 상장 기업이 됐다. 이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글로벌 기술 산업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했음을 의미한다. AI 하드웨어와 반도체 시장에서의 독보적 지위가 이번 기록 달성의 핵심 배경으로 꼽힌다. 엔비디아는 생성형 AI,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등 첨단 분야에서 GPU(그래픽처리장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매출과 기업가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데이터센터 GPU 시장에서 90%에 달하는 점유율을 확보하며, AI 인프라 구축의 필수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젠슨 황 CEO의 순자산도 1,400억 달러에 달해 업계 최고 수준에 올랐다. 월가 분석가.. 2025. 7. 2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