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소프트 NCAI·크래프톤 SKT 컨소시엄 참여·게임업계 기술력 활용
한국의 대표적인 게임 기업들이 정부의 독립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주목받고 있다. NC소프트와 크래프톤이 각각 다른 컨소시엄을 통해 한국을 대표하는 AI 모델 개발에 나서면서, 게임업계가 축적한 AI 기술력을 국가 AI 생태계 구축에 활용하는 새로운 모델이 등장했다. 게임업계는 AI 기술을 가장 빠르게 연구하고 활용한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NC소프트의 AI 자회사 NCAI는 정부 독립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서 컨소시엄 주관기관으로 참여한다. NCAI는 자체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음성과 이미지로 확장되는 멀티모달 모델 기술과 게임, 패션 등 다양한 산업에서 기술을 상용화한 경험을 갖고 있다. NC소프트는 2011년 한국 게임사 최초로 AI 조직을 설립하고 연구에 뛰어들어 자체 대규모 언어모델(VARCO)을 설계했다. 올해 초 연구조직이 NCAI로 분사되면서 패션, 미디어 등 수직 분야에 특화된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크래프톤은 SKT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에 참여자로 참가한다. 크래프톤은 원천 모델보다는 게임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AI 기술에 특화되어 있으며, 게임에서 AI를 적극 활용해 글로벌 수준을 선도하는 게임사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올해 출시한 라이프 시뮬레이션 게임 'Join-i'에서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개발한 AI 기술을 도입했다. 크래프톤은 게임 내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추론하며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CPC' 캐릭터를 선보였다. SKT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에서 SKT가 자체 언어모델에 집중하는 반면, 크래프톤은 음성, 이미지, 비디오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멀티모달 기술을 담당한다.
게임업계의 AI 기술 축적이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임업계는 AI 기술을 연구하고 활용한 가장 빠른 분야로, 게임 캐릭터와 사운드에 AI를 적용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NCAI의 대표 기술로는 텍스트 입력 시 캐릭터 움직임을 구현하는 AI 모션 기술 'Barco Animation'과 음성에 따라 캐릭터의 입 모양과 표정을 만드는 'Barco Sync Face'가 있다. 이러한 게임업계의 AI 경험이 한국형 AI 모델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서면 평가를 통해 15개 지원팀 중 10개를 선정했으며, NCAI와 크래프톤 컨소시엄 모두 통과했다. 이제 발표 평가를 통해 5개 엘리트 팀으로 압축될 예정이다.
참고 링크: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sor '버그봇', 베타 서비스 종료… 정식 출시로 소프트웨어 개발 혁신 예고 (0) | 2025.07.27 |
---|---|
중국 상하이, 세계 최대 AI 컨퍼런스 'WAIC 2025' 개최 (1) | 2025.07.27 |
화웨이, 엔비디아 도전장...AI 컴퓨팅 시스템 'CloudMatrix 384' 공개 (1) | 2025.07.27 |
구글, AI 기반 가상 의류 착용 기능 출시로 쇼핑 경험 혁신 (2) | 2025.07.25 |
OpenAI, 차세대 AI 모델 GPT-5 8월 출시 임박 (1)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