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AI 기반 언어 더빙 기술 혁신... 영화·TV 제작 방식 변화

by 카메라의눈 2025. 10. 13.
반응형
기존 더빙 방식 한계 극복하는 AI 기술 등장

AI 기반 언어 더빙 기술 혁신... 영화·TV 제작 방식 변화
스웨덴 영화 'Watch the Skies'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영어로 더빙이 입혀졌다 (출처:bbc 코리아)

 

AI를 활용한 언어 더빙 기술이 영화와 TV 프로그램의 제작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BBC가 8월 17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기존 더빙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AI 기술이 등장하면서 다국어 콘텐츠 제작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더빙은 원어민 성우가 다른 언어로 대사를 녹음하는 방식이었지만, AI 기술을 활용하면 원본 배우의 목소리와 감정, 억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언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텍스트를 번역하는 것을 넘어서 배우의 연기와 감정 표현까지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특히 AI는 배우의 입 모양과 발음의 동기화까지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어, 시청자가 더빙된 콘텐츠임을 거의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완성도를 보여준다. 이는 기존 더빙에서 나타나던 부자연스러운 입 모양이나 감정 표현의 손실 문제를 해결한다.

 

AI 기반 더빙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제작 비용과 시간의 대폭 단축이다. 기존에는 각 언어별로 전문 성우를 섭외하고, 별도의 녹음 스튜디오에서 작업해야 했지만, AI 기술을 활용하면 원본 녹음만으로 여러 언어 버전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넷플릭스, 디즈니+ 등 글로벌 OTT 플랫폼에서 동시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작사 입장에서는 한 번의 제작으로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어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영화와 TV 프로그램의 글로벌 배급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의 장벽이 크게 낮아지면서 지역별 맞춤형 콘텐츠 제작보다는 범세계적 콘텐츠 제작이 더 효율적이 될 수 있다.

또한 소수 언어권 시장에서도 고품질 더빙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출처: BBC 코리아 - AI 언어 더빙 기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