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미관계2 트럼프, 한일·EU 관세 15%로 인하…68개국 관세율 조정 68개국과 EU에 적용할 조정된 관세율 명시한국 일본 EU 15% 관세율인도 25%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합의한 대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췄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 오후(현지시간) 지금까지 한국 등 주요 교역국과 진행한 무역 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행정명령 부속서에 명시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보면 한국은 15%로 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처음 발표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만성적인 대규모 무역 적자가 국가 안보와 경제에 큰 위협이라고 주장하며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가별로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발표했다. 이후 그는 관세 부과를 두.. 2025. 8. 1.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한국 영향 전망... "해리스-트럼프 모두 도전적" 美 대선 해리스-트럼프 정책 비교... 한반도 안보·경제 영향은?대북정책·한미동맹 접근법 극명한 차이... 해리스 "동맹강화" vs 트럼프 "거래관계"경제정책도 엇갈려... 반도체·전기차 산업 영향 주목미국 대선을 앞두고 해리스와 트럼프 두 후보의 주요 정책이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외교·안보와 경제 분야에서 두 후보의 정책 차이가 뚜렷해 향후 한미관계의 변화가 예상된다. 외교·안보 분야에서 해리스 후보는 한미동맹강화를 강조하며 바이든 행정부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트럼프 후보는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하며 동맹관계를 거래적 관점에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정책에서도 해리스는 한미일 3국 협력을 통한 북핵 위협 대응을 주장하는 반면, 트럼프는 김정은과의 .. 2024. 1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