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가 위협 행위자들의 악용 시도를 사전에 탐지하고 차단, 보안 분야 AI 활용의 새로운 이정표
Google이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AI 에이전트 'Big Sleep'을 활용해 해커들이 악용하려던 SQLite 취약점을 사전에 발견하고 차단했다고 발표했다.
발견된 취약점은 CVE-2025-6965로 분류되며, CVSS 점수 7.2의 메모리 손상 취약점이다. 이 취약점은 SQLite 3.50.2 이전 모든 버전에 영향을 미치며, 공격자가 임의의 SQL 문을 애플리케이션에 주입할 수 있을 경우 정수 오버플로우를 일으켜 배열 끝을 넘어 읽을 수 있다.
Google은 이 취약점을 "위협 행위자들에게만 알려져 있었고 악용될 위험이 있었던 중요한 보안 이슈"라고 설명했다. Google 글로벌 정책 총괄 켄트 워커는 "위협 정보와 Big Sleep의 조합을 통해 Google은 실제로 취약점이 곧 사용될 것임을 예측하고 사전에 차단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Big Sleep은 Google DeepMind와 Google Project Zero 간의 협력을 통해 작년에 출시된 AI 에이전트로, 이번이 처음으로 AI 에이전트가 실제 위협을 직접 차단한 사례다. Google은 "AI 에이전트가 실제로 야생에서 취약점 악용을 막는 데 사용된 첫 번째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번 성과는 AI 기술이 보안 분야에서 이론적 도구를 넘어 실제 위협에 대응하는 실용적 도구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AI와 보안의 융합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다"며 "AI를 활용한 사전 위협 탐지 기술의 중요성이 증명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Google은 이번 사례를 계기로 안전한 AI 에이전트 구축을 위한 백서를 발표했다. 이 백서는 AI 에이전트가 명확한 인간 통제자를 가지고, 잠재적 악행을 피하기 위해 능력을 신중하게 제한하며, 행동이 관찰 가능하고 투명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고 링크: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AI, 세계 최고 권위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 수준 성과 달성 (0) | 2025.07.20 |
---|---|
Mozilla Firefox 141에 WebGPU 지원 추가... Chrome에 이어 두 번째 브라우저 (1) | 2025.07.20 |
Netflix, 생성형 AI를 실제 콘텐츠 제작에 활용... 'The Eternaut'에서 건물 붕괴 장면 AI로 제작 (0) | 2025.07.20 |
에이전트형 AI 시장 폭발적 성장... 2025년 전년 대비 300% 증가 (0) | 2025.07.20 |
OpenAI, ChatGPT Agent 기능 공식 출시... 웹 브라우징과 작업 자동화 결합 (1) | 2025.07.20 |